< 자존감에 대한 이해(부부의 관점에서)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존감에 대한 이해(부부의 관점에서)

by 열정의화신 2023. 6. 13.
반응형

부부 갈등의 원인

한 TV 방송에서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싸움의 원인을 조사했더니, 1위가 성격차이, 2위가 경제문제, 3위가 무관심으로 나왔다고 한다.

물론 이조사의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많은 부부들이 성격차이로 싸우며 갈등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성격차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내향적이냐 직관형이냐 등등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겠지만, 그 성격차이가 부부싸움으로 발전하는 중심에는 자존감이란 문제가 크게 자리하고 있다.

왜냐하면 자존감이 높으면 성격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기 때문에 싸움으로까지 발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존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지니고 있는 생각, 판단, 감정과 기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인간 내면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느끼는가 하는 자신에 대한 가치평가이다. 이 자존감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하나는 여러 가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자기 능력 감이고, 또 하나는 자신이 행복해질 가치가 있다는 자기 가치감이다.

따라서 자존감은 우리 삶의 질을 향상하고 행복을 느끼는 일에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부부관계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자존감의 개념과 낮은 자존감의 형성요인을 고찰하여 낮은 자존감을 이해하고, 부부관계에 있어서 낮 은 자존감의 문제들을 알아봄으로써 부부관계를 점검하여 성숙한 부부관계를 위한 알아보려 한다.

 

자존감의 이해

자존감은 사회 심리학에서 계속 다루어지고 있는 관심 있는 주제로서 자존감과 비슷한 용어로써는 자아개념(self-concept)과 자아상(self-image)이 있다. 자아개념과 자아상은 사람이 자신에 대하여 가진 견해로서 개인이 자신에 대해서 가지는 생각과 태도와 감정을 포함하며, 자존감은 개인이 자신의 가치, 능력, 중요성에 대해서 내리는 평가를 말한다. 자아개념과 자아상이 자기 묘사를 의미하는 반면, 자존감은 자기 평가를 포함하는 용어이지만 이 세 가지는 서로 중복되는 개념이며 우리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며 혹은 느끼는지에 영향을 준다.

 

 

자존감의 정의

자존감의 정의 자존감에 대한 사전적인 정의는 자기에 대한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평가로 구성된 자기 평가 혹은 판단을 말한다. 즉 이것은 자신에 대한 승인, 인정이나 혹은 비 난, 거부로 표현되며, 행동에 대한 중요한 열쇠이며, 삶에 있어서 성공과 실패를 가 늠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자존감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충만한 생활을 위해 필수적이며, 부부의 관계를 포함한 대인관계에 가장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요인이다.

자존감에 대하여 제일 먼저 개념적인 설명을 시도한 것은 미국 심리학의 아버지 윌리엄 제 임스(William James)이다. 그는 1890년에 출판된 그의 책 심리학의 원리에서 자존감을 우리가 예상했던 요구에 대한 현실적 실천의 비율, 우리의 욕구를 분모로 하 고 우리의 성공을 분자로 한 비율 즉 자존감= 성공/욕구로 보고 있다.그는 자존감은 자신의 분야에서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신이 성취한 것이 많아질수록 자존감이 증가하고 제임스의 정의는 자존 감응을 우리가 경험하는 정서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으며 또한 무언가를 성취하는 행동이 자신의 자존감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여러 학자들의 자존감에 대한 정의를 가능한 종합 해보면 대체로 자존감은 개인이 자신의 자치, 능력, 중요성에 대하여 내리는 평가라는데 이맃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평가는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인 면들을 포함한다.

 

 

결국 부부의 관계 속에서도 서로의 자존감이 중요하다. 서로의 자존감이 있는 상태에서 부부의 갈등은 금방 복구가 된다. 그러나 한 명이라도 자존감이 낮은 상태에 있다면 이 싸움의 파급력은 커지게 되고 심지어는 이혼의 사유에서 잘 나와 있듯이 성격의 차이로 인한 이혼으로 가는 길을 걷게 된다.

자존감에 대한 정의, 이해를 통해 자신이 자존감이 있는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댓글